신경다양성 어린이를 위한 무용공연을 제작하는 모두예술극장 프로젝트팀입니다.
A project team at Modu Art Theater producing dance performances for neurodiverse children.
단체 소개
국내 첫 장애예술 공연장인 모두예술극장에서 제작한 신경다양성 어린이를 위한 무용 공연 <야호야호 Echoing Dance>를 위해 연출가, 안무가, 사운드 작가, 아키비스트, 프로듀서로 구성된 프로젝트팀이다.
미션
모두예술극장이 제작하는 신경다양성 어린이를 위한 무용공연 <야호야호 Echoing Dance>(연출: 김재리)를 위해 지난해 12월부터 프로젝트팀이 만들어졌으며, 6월 27-29일 쇼케이스(총 31가족, 83명 참여)를 거쳐 9월 13-21일 본 공연을 소개했다. 이후로 워크숍 투어와 워크북 및 아카이브북 제작이 예정되어 있다.
활동영역
장애예술 영역에서 장르 특정적인 기존 작업들에 대한 문제의식과 더불어, 다양성의 관점에 대한 필요를 고려한 제작 시도이다. 특히 ‘신경다양성’은 발달장애, 자폐 스펙트럼, 지적장애, ADHD, 발달지연 등 뇌신경과 관련된 특성을 장애의 유형이 아닌 하나의 행동양식으로 바라보는 삶의 운동이자 이론이다. 이는 기존에 ‘장애’로만 인식되던 시각에서 벗어나, 개인의 다름과 다양성을 통해 세상을 새롭게 바라보고 상상할 수 있는 가능성을 바라보며 제안한다.
프로그램
공연 제작을 위해 3개월 간의 리서치 과정부터 거쳤으며, 여기에는 신경다양성 연구자이자 어드바이저로 참여한 에린 매닝(Erin Manning, 캐나다 Concordia University 예술교육학과 교수, Sense Lab 예술감독)과의 세미나를 통한 이론적 접근, 돌봄의 화두나 무용치료를 포함하는 전문가 워크숍, 대상과 만나는 무용-놀이 수업(50여명의 어린이 참여) 등이 포함된다. 이와 함께 무용수 연습 및 스튜디오 리허설을 통해 작품을 발전시켰다.
활동전략
신경다양성 중에서도 자폐 스펙트럼이 많은 부분을 차지하며, 이를 소통 불능이나 갇혀 있음(mind-blindness)의 상태로 바라보는 치료적, 의학적 관점에서 벗어나 최근의 철학이나 무용에서의 관점과 접근을 참고한 작업이다.
신경다양성은 관계에 기반한 관점이며, 타자로의 열림으로 옮겨가며 독립적인 주체의 신화에 이의를 제기한다. 각자 개별적으로 존재하면서 공존하고 개방과 접촉을 통해 생성되는 제3의 차원을 작동시킴으로써 현시되는 세계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세계의 ‘활성화(activation)’를 위한 안무 전략이자 콘셉트는 다음과 같다.
‘투명한 선으로 그물 짜기(Weaving the mesh)’는 참여자와 공연자의 보이지 않는 연결 가운데 흐름이 만나고 교차하며 매듭을 형성하고 이미지가 떠오르게 하는 방식을 말한다. 신체와 주변을 연결하여 실시간으로 구성되는 ‘리얼타임 컴포지션(real-time composition)’으로 나타난다. 이는 움직임이나 춤을 의미 있게 구성하는 것이 아닌, 아이들이 움직일 수 있는 조건과 환경을 조직하는 것과 관련된다.
‘두 번째로 움직이기(Second to move)’는 공연자가 주도하며 독창적인 춤을 추기보다는 세상과 환경에서 이미 먼저 움직이고 있는 움직임을 포착하고 거기서 움직임이 생겨난다는 개념이다. 늘 변화하는 리듬 속에서 응답의 가능성(call & respond)으로 열려 있는 장소로서의 몸을 기반으로, 서로 감응하고 함께하는 시간을 강조한다. 이러한 가운데 나와 타자/사물 사이에 서로 조율하며 상호 반응하는 관계를 형성하고, 여기서 예측 불가능한 긴장과 운동성이 발생하는 ‘대위법(counterpoint)’의 안무와 연결된다.
‘놀이(play)’의 콘셉트는 아이들의 직관적이고 상상적인 놀이를 공연의 맥락에서 미학적 체계로 구현하는 시도를 말한다. ‘있다 없다’의 원초적 놀이로부터 다채롭게 파생되며 번져가는 놀이의 발생 과정을 바탕으로, 언제든 다시 시작되는 놀이의 시간과 어디서든 출현 가능한 보기라는 극장성의 기원을 마주하며, 아이들을 창발적 리더로서 새롭게 발견한다.
*참고
“신경전형성’은 ‘신경다양성’과 반대되는 개념으로, 사회 규범이나 가치를 학습하면서 만들어지는 경향성”이라며, “우리가 아는 예술의 문법 또한 그러한 영향 하에 놓여 있는 것인데, 작업 과정에서 그러한 기존의 춤 요소나 안무 방식이 전혀 작동하지 않는 세계와 맞닥뜨려야만 했다.”, “공연을 통해 서로 다른 몸들이 함께할 수 있는 감각이 무엇인지 인식하게 되기만 해도 성공이 아닌가 생각하면서 ‘공존’의 개념으로 접근하고자 했다.”
(연출가 김재리 인터뷰 - ‘장애예술’에서 ‘모두의 예술’로)
“제가 공연에서 매혹당했던 건 이 아이들은 전과 후만 있지 선형적인 내러티브가 아예 작동하지 않는다는 거였어요. 전후를 연결하는 성인 어른의 논리구조라는 게 아이들에게는 전혀 없다는 지점이죠. 그런데 한 시간 가까이를 계속 흐름으로, 강도(intensity)로 움직이고 있더라고요. 그게 저한테는 너무 놀라웠어요. 이미지나 도식을 모래로 만들어버리는 느낌이고, 무용수보다 아이들에게 눈이 가는 경험을 했어요.”
“이 공연이 대단하다고 생각한 것은 생생한 구체성의 세계를 억압하거나 소외시키는 성인 세계로의 진입을 거부하는 이 아이들을 성인 무용수들의 협업 상대로 선정했다는 거예요. 이 자체가 사건이라는 생각이 들어요.”
“아이들이 어떤 팽팽한, 절대로 위계화 할 수 없는 방식으로 움직이고, 시작도 끝도 없는 심지어 그들이 사는 방식이기도 한 것들을 무대 위에서 자신만의 방식으로 에너지 빛을 뿜고 있다는 생각이 들어요. 각자 평등하게 공존한다는 것을 바로 여기서 찾을 수 있구나, 라는 생각이 들고요. (…) 이 작품은 아이들을 구조화하는 방식이 작동하지 않고, 완전하게 수평적인 장면으로 남아요. 어떤 에너지로 오는 것이지요.”
“그들을 ‘선물’이라고 느끼는 것은 그렇게 다른 차원으로 나가는 문을 여는 조건을 기존 전문 무용수들이 거의 사라짐의 형식을 통해 만들어주고 있기 때문이었던 것 같아요. 안-추기, 배경이나 세팅에 가까운 음의 자리로 물러서기, 그게 노련한 무용수들이 자처한 겸손으로 읽히기도 해서 감동했어요. 자신이 수련과 노동으로 획득한 힘을 기꺼이 잃고 타자가 나타날 기회-조건으로서만 가까이하기.”
(양효실, 미학자, 프로그램북 중에서)
“무용수들은 아이들의 움직임을 잇고 차이 안에서 증폭시킨다. 전형성의 우위가 작동하지 않으며 애초에 그러지 않아도 되는 예외적인 장을 마련하는 것”
(리뷰 - 어둠 너머의 신경다양성을 길라잡이 삼아 / 글: 박수연(미학연구자))
About the Group
This project team, comprising a director, choreographer, sound artist, archivist, and producer, was formed for the dance performance <Yaho Yaho Echoing Dance> for neurodiverse children, produced by Modu Arts Theater, Korea's first performing arts venue dedicated to disability arts.
Mission
The project team was formed in December last year for the dance performance <Yaho Yaho Echoing Dance> (Director: Kim Jae-ri) produced by Modu Arts Theater for neurodiverse children. Following a showcase from June 27-29 (participation: 31 families, 83 people), the main performance was presented from September 13-21. Workshop tours and the production of a workbook and archive book are planned.
Scope of Activity
This production attempt addresses concerns about existing genre-specific works in the field of disability arts while considering the need for a perspective of diversity. Specifically, 'neurodiversity' is a movement and theory of life that views characteristics related to the brain and nervous systems—such as developmental disabilities, autism spectrum disorders, intellectual disabilities, ADHD, and developmental delays—not as types of disability, but as distinct behavioral patterns. It proposes moving beyond the existing perspective that solely recognizes these as 'disabilities,' instead looking toward the possibility of seeing and imagining the world anew through individual differences and diversity.
Program
The production underwent a three-month research process, including theoretical approaches through seminars with Erin Manning (Professor of Arts Education at Concordia University, Canada, and Artistic Director of Sense Lab), who participated as a neurodiversity researcher and advisor; expert workshops covering topics like care and dance therapy; and dance-play classes engaging the target audience (with over 50 children participating). The work was further developed through dance rehearsals and studio rehearsals.
Activity Strategy
While neurodiversity encompasses a broad spectrum, autism spectrum disorders form a significant part of it. This work moves beyond therapeutic or medical perspectives that view autism as a state of communication failure or mind-blindness, instead drawing on recent philosophical and dance-based perspectives and approaches.
Neurodiversity is a relationship-based perspective that shifts toward openness to the other, challenging the myth of the independent subject. It can be described as a world manifested by each individual existing while coexisting, activating a third dimension generated through openness and contact. The choreographic strategy and concept for 'activating' this world are as follows.
'Weaving the mesh' refers to the way flows meet, intersect, form knots, and conjure images within the invisible connections between participants and performers. It manifests as 'real-time composition,' connecting the body and its surroundings to be constructed in real time. This relates not to meaningfully composing movement or dance, but to organizing the conditions and environment within which children can move.
‘Second to move’ is a concept where the performer captures movement already present in the world and environment, rather than leading with an original dance, and movement arises from there. It emphasizes a time of mutual resonance and togetherness, grounded in the body as a place open to the possibility of call & respond within ever-changing rhythms. Within this, it forms a relationship of mutual coordination and reciprocal reaction between the self and the other/object, connecting to choreography of 'counterpoint' where unpredictable tension and mobility emerge.
The concept of 'play' refers to the practice of translating children's intuitive and imaginative play into an aesthetic system within a performance context. Based on the process of play's emergence—diversely derived and spreading from the primal 'here and gone' game—it confronts the origin of theatricality: the time of play that can restart anytime and the gaze that can appear anywhere. It rediscovers children as emergent leaders.
*References
"Neurotypicality" is a concept opposed to "neurodiversity," referring to tendencies formed while learning social norms or values. "The grammar of art we know is also subject to such influences, yet in the creative process, we had to confront a world where existing dance elements or choreographic methods simply didn't function." "We approached it with the concept of 'coexistence,' thinking that simply recognizing through the performance what it means for different bodies to be together is success in itself."
(Director Kim Jae-ri Interview - From 'Disability Arts' to 'Arts for All')
"What captivated me in the performance was that these children only have before and after—a linear narrative doesn't function at all for them. The logical structure of adults connecting before and after simply doesn't exist for children. Yet, for nearly an hour, they kept moving in a continuous flow, driven by intensity. That was astonishing to me. It felt like they were turning images and diagrams into sand, and I found myself drawn more to the children than the dancers.”
"What I found truly remarkable about this performance was selecting these children—who refuse entry into the adult world that suppresses or alienates the vivid, concrete world—as collaborative partners for adult dancers. That, itself feels like an event."
"I feel that the children move in a taut, absolutely non-hierarchical way, radiating energy and light on stage in their own unique manner—things that have no beginning or end, that are even the very way they live. It strikes me that this is precisely where we find their equal coexistence. (...) This work doesn't structure the children; it remains a completely horizontal scene. It comes from a certain energy."
“Feeling them as a ‘gift’ seems to stem from the fact that the existing professional dancers create the conditions for opening a door to that different dimension through a form of near disappearance. Stepping back into a negative space, closer to the background or setting—this act of humility, voluntarily chosen by seasoned dancers, was deeply moving. Willingly relinquishing the power gained through training and labor,
approaching only as an opportunity-condition for the other to emerge."
(Yang Hyo-sil, Aesthetician, from the Program Book)
"The dancers connect the children's movements and amplify them within their differences. They create an exceptional space where the dominance of typicality does not operate, and indeed, need not."
(Review - Guided by Neurodiversity Beyond Darkness / By Park Soo-yeon (Aesthetics Research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