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rd Paradise DMZ: the Art od Demopraxy in Korea
Semptember 29-30, 2025, Camp Greaves

주한이탈리아문화원, 경기관광공사, 그리고 피스톨레토 치타델아르테 온루스 재단이 공동 주관으로 한국의 31개 시민단체와 함께 캠프 그리브스에서 제3의낙원 DMZ를 개최한다. 미켈란젤로 피스톨레토의 제3의 낙원과 실천 민주주의(Demopraxy) 원칙을 공동 참여를 통해 현실로 구현하는 포럼이자 참여형 미술 설치 예술로, 분단의 역사적 현장을 반성, 대화, 공존, 지속 가능성을 위한 공간으로 탈바꿈시킨다.
Organized by the Italian Cultural Institute in Seoul, the Gyeonggi Tourism Organization, and Fondazione Pistoletto Cittadellarte Onlus at Camp Greaves, the Third Paradise DMZ is both a forum and a participatory art installation involving 31 civic organizations in Korea. It brings Michelangelo Pistoletto’s Third Paradise and the principles of Demopraxy to life through collective engagement, transforming a historic site of division into a space for reflection, dialogue, coexistence, and sustainability.
데모프락시 - 실천 민주주의
미켈란젤로 피스톨레토의 핵심 사상인 데모프락시(Demopraxy), 치타델아르테 디렉터인 파올로 날디니가 처음 제시한 개념)는 실천을 통한 민주주의 구축을 강조한다. 여기에서 예술은 인류, 지구, 그리고 미래를 위한 중요한 대화를 촉발하는 도구이며, 그의 프로젝트 아트 선언문(”Project Art” manifesto, 1994)가 설파한 바이기도 하다. 데모프락시를 바탕으로, 작가와 그의 재단 치타델아르테는 데모프락시 오페라(Demopraxy Opera)를 출범시켰다.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유엔 2030 어젠다(UN 2030 Agenda for Sustainable Development)를 근간에 두고 지속가능성과 평화 실현을 위해 지역에서 활동하는 단체들 간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현재의 주요 문제 해결을 목적으로 하는 포럼과 전시이다.
DEMOPRAXY
Michelangelo Pistoletto’s core idea, Demopraxy — originally conceived with Cittadellarte’s Director Paolo Naldini — emphasizes building democracy through practice. In this vision, art becomes a tool for sparking meaningful conversations about humanity, the planet, and our shared future, echoing the principles set out in his Project Art manifesto (1994). Building on Demopraxy, Pistoletto and his foundation, Cittadellarte, have launched the Demopraxy Opera: a forum and exhibition designed to create a network of local organizations working toward sustainability and peace in line with the UN 2030 Agenda for Sustainable Development, while also addressing today’s most pressing challenges.
제3의 낙원이란
제3의 낙원은 첫 번째 낙원과 두 번째 낙원의 융합입니다.
첫 번째는 인간이 자연에 완전히 통합되었던 낙원입니다. 두 번째는 인간이 현재의 세계화 단계에 도달하는 과정에서 만들어 낸 인공 낙원입니다. 이 낙원은 인공적인 욕구, 인공적인 산물, 인공적인 안락함, 인공적인 쾌락, 그리고 모든 형태의 인공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인류는 진정한 인공 세계를 형성했으며, 이는 유익한 효과와 함께 지구 규모로 기하급수적으로 진행되는 돌이킬 수 없는 쇠퇴 과정을 초래하고 있습니다. 제3의 낙원은 인공과 자연 사이의 균형 잡힌 연결로 실현된 인류의 세 번째 단계입니다.
제3의 낙원은 인류 생존을 보장하기 위해 필수적인, 새로운 차원의 지구 문명으로 가는 통로입니다. 이를 위해 우리는 무엇보다도 공동의 삶을 이끄는 원칙과 윤리적 행동을 재정립해야 합니다.
제3의 낙원은 모든 사람이 우리 지구의 비전에 대한 개인적인 책임을 지도록 이끄는 위대한 신화입니다.
"낙원"이라는 용어는 고대 페르시아어에서 유래되었으며 "보호된 정원"을 의미합니다. 우리는 이 지구를 보호하고 그 안에 사는 인간 사회를 치유해야 하는 정원사입니다.
수학적 무한대 기호를 재구성한 제3의 낙원 상징은 세 개의 연속된 원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바깥쪽 두 원은 자연과 인공을 포함한 모든 다양성과 모순을 나타냅니다. 가운데 원은 반대편 원들이 합쳐져 만들어지며 새로운 인류가 만들어지는 자궁을 상징합니다.
(미켈란젤로 피스톨레토)
제3의 낙원은 치타델아르테와 그 글로벌 네트워크(프로젝트 대사들과 데모프락시 오페라, 그리고 수백 개의 파트너로 구성됨)의 활동, 그리고 Geographies of Change, VisibleProject에 제시된 모범 사례를 통해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형태를 갖추게 된다.
What is the Third Paradise?
It is the fusion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paradise. The first is the paradise in which humans were fully integrated into nature. The second is the artificial paradise, developed by human intelligence to globalizing proportions through science and technology. This paradise is made of artificial needs, artificial products, artificial comforts, artificial pleasures, and every other form of artifice. Humankind has created a truly artificial world which has triggered, in an exponential manner and in parallel with beneficial effects, irreversible processes of decline and consumption of the natural world. The Third Paradise is the third phase of humanity, realized as a balanced connection between artifice and nature.
The Third Paradise is the passage to a new level of planetary civilization, essential to ensure the survival of the human race. To this purpose we first of all need to re-form the principles and the ethical behaviours guiding our common life.
The Third Paradise is the great myth that leads everyone to take personal responsibility in the global vision.
The term “paradise” comes from the Ancient Persian and means “protected garden”. We are the gardeners who must protect this planet and heal the human society inhabiting it.
The symbol of the Third Paradise, a reconfiguration of the mathematical infinity sign, is made of three consecutive circles. The two external circles represent all the diversities and antinomies, among which nature and artifice. The central one is given by the compenetration of the opposite circles and represents the generative womb of a new humanity.
(Michelangelo Pistoletto, 2003)
The Third Paradise assumes a concrete and operative form through the activities of Cittadellarte and its global network (made of Embassies and Demopraxy OPERAS, and hundreds of partners), and the best practices presented in Geographies of Change and VisibleProje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