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포럼에서 다루는 주제는 크게 포용과 생태에 관한 것이다 - 외로움, 경계, 돌봄, 회복탄력성. 그리고 그 실천 전략으로서 Praxis를 이야기한다. 이들은 모두 다양성으로 수렴되며 궁극적으로 (광의의) 평화를 향한다. 치타델아르테가 집중하는 전 지구적 주제인 다름을 사랑하기(Love Difference)와 제3의 낙원(Third Paradise), 예방적 평화(Precautionary Peace)와 맥을 같이 한다.
포럼에는 포용, 생태, 평화를 위해 한국에서 활동하며 지속가능한 미래에 기여하는 단체 31개의 활동가 40여 명이 참여한다. 이들은 17개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유엔 2030 어젠다와 닿아 있는 시민 운동가와 사회적기업가, 현장 전문가, 연구 그리고 한국 DMZ 지역사회의 구성원이다. 이들은 포럼의 다섯 개의 주제에 관해 서로의 생각을 교류하고 공동의 액션 플랜을 수립한다. 액션 플랜은 제3의 낙원을 만드는 다중의 목소리, 다중의 실천 노력을 담은 공동의 선언문이 된다. 공동의 선언문은 본 포럼이 끝난 뒤에도 각자가 본인의 자리에서 노력을 계속하기 위한 출발점이다. 또한 모두의 계속된 노력을 공동으로 확인하고 확장하여 지속가능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실천 민주주의 (Demopraxy) 도구이다.
토의 주제
외로움. 경직된 한국 사회에서 다양성이 존중되지 않고, 다름이 인정되지 않는 현실. 정해진 틀과 상향평준화된 도달점이 존재하며, 그 틀 안에 부족하거나 틀 밖에 있을 경우 사회로부터 배제되는 경험이 발생한다. 이러한 배제는 개인의 외로움을 심화시키고, 서로를 구분 짓는 사회적 거리감을 만든다. 외로움에 빠지지 않는 사회를 만들기 위한 사회는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경계. 공공 정책이나 제도 개선의 의도가 ‘배려’와 ‘포용’이라 하더라도, 실제로는 경계를 세분화하고 소속을 재정의하면서 새로운 장벽을 만든다. 물리적·사회적 배리어프리의 개념조차 태생적으로 완전한 자유를 보장하지 못하며, 경계의 설정 과정에서 차별과 배제가 동시에 강화될 수 있다. 전문화와 세분화는 한편으로는 더 정교한 지원과 배려를 가능하게 하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규정 밖의 사람들을 새로운 소외와 사각지대로 밀어낸다.
돌봄. 돌봄은 종종 가족의 책임으로 환원되거나 제도적 서비스로만 협소하게 다뤄진다. 그러나 실제로는 청소년, 자립준비청년, 장애인, 노인 등 다양한 사회적 약자뿐 아니라, 기후 위기와 생태적 전환의 맥락에서도 ‘돌봄’은 핵심적인 생존 행위다. 돌봄을 단순한 일방적인 지원이 아니라, 상호의존적(상호지원적) 삶의 조건으로 확장해 재정의할 필요가 있다.
회복탄력성. 회복탄력성은 단순히 파괴된 상태를 ‘복구’하는 차원에 머무르지 않는다. 중요한 것은 앞으로 다가올 환경적·사회적 재난을 '건강한' 방식으로 회복하고 지속가능성을 확보할 수 있게 하는 개인적, 미시적, 거시적 시스템은 무엇인가이다. 물리적 복구 중심의 사고는 동일한 취약성을 반복시킬 수 있으며 불평등한 회복 과정을 낳는다. 예상치 못한 대형 재난에 직면했을 때, 누구에게나 회복할 수 있는 상황을 마련하는 방식은 무엇인가?
실천(Praxis). 실천의 방식과 전략은 이미 다양한 분야에서 풍부하게 논의되고 있다. 그러나 여전히 중요한 과제는 그 방법들을 서로 공유하고, 각자의 맥락에 맞게 창의적이고 즐거운 방식으로 변주하는 일이다. 참여와 공감을 촉발하는 (캠페인) 과정은 예술, 문화, 놀이적 시도 등을 통해 더욱 확장될 수 있으며, 이는 실천을 지속 가능하게 만드는 동력이 될 수 있다.
The forum focuses on Inclusion and Ecology through the macro-themes of Loneliness, Boundaries, Care, Resilience, and Praxis which is discussed as a practical strategy to achieve other four goals. These themes converge towards Diversity and ultimately lead to Peace (in a broad sense), with Cittadellarte's core themes of Love Difference, Third Paradise, and Precautionary Peace.
The forum will bring together more than 40 activists from 31 organizations in Korea working for Inclusion, Ecology, and Peace, contributing to a sustainable future. These individuals include civic activists, social entrepreneurs, field experts, researchers, and members of the Korean DMZ community, all aligning with the 17 UN 2030 Agenda for Sustainable Development. During the forum, the participants will exchange ideas on the forum's five themes and develop a shared action plan. This action plan will serve as a joint declaration embodying the multitude of voices and multitude of practical efforts to create the Third Paradise. The following joint declaration will serve as a starting point for each participant to continue their efforts in their respective positions even after the forum concludes. It will also work as a tool for Demopraxy, enabling everyone to jointly confirm and expand their ongoing efforts to ensure sustainability.
Working themes
Loneliness. In Korean society, diversity is often overlooked, and differences are rarely acknowledged. Strict norms and standardized goals dominate, leaving those who fall short—or who exist outside these expectations—marginalized and excluded. This exclusion not only intensifies individual loneliness but also widens the social divides that separate us.
Boundaries. Even when public policies or institutional reforms are designed with “consideration” and “inclusion” in mind, they often end up creating new barriers by drawing boundaries and redefining belonging. The very concept of physical or social barrier-free spaces does not inherently guarantee true freedom, as the act of setting boundaries can also reinforce discrimination and exclusion. While specialization and segmentation may provide more tailored forms of support and care, they also risk pushing those who fall outside these definitions into new forms of marginalization and neglect.
Care. Care is often reduced to the responsibility of the family or treated narrowly as an institutional service. However, in reality, care is a core survival practice not only for various socially vulnerable groups, such as youth, young people preparing for independence,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the elderly, but for all of us in the context of the climate crisis and ecological transition. Care needs to be redefined, expanding beyond mere one-sided support to a condition of interdependent(inter-supporting) living.
Resilience. Resilience is not simply about “recovering” from a state of destruction. The real challenge lies in understanding which individual, micro, and macro systems allow us to recover from future environmental and social crises in a truly “healthy” way, while ensuring long-term sustainability. If recovery focuses only on the physical aspects, it risks perpetuating existing vulnerabilities and producing unequal outcomes. In the face of unexpected, large-scale disasters, the essential question becomes: how can we create conditions in which everyone has the ability to recover?
Praxis. The methods and strategies for implementing practices are already being discussed extensively in various fields. However, the crucial task remains sharing these methods and adapting them creatively and enjoyably to each individual's context. The (campaign) process, which fosters participation and empathy, can be further expanded through artistic, cultural, and playful endeavors, which can serve as a driving force for sustainable practice.
포럼은 3단계로 진행된다.
1. 매핑 - 참여자 모집
매핑 단계는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유엔 2030 어젠다에 부합하며 해당 지역에서 활발하게 활동하고 포럼 참여에 관심 있는 단체를 파악하는 단계이다. 이들은 “제3의 낙원 대사(프로젝트 팀)”과 직접 접촉을 통해 선정된다.
2. 포럼
제3의 낙원 대사는 매핑 과정을 통해 도출된 안건을 바탕으로 질문 형식의 토의 주제를 제시한다. 각 토의 그룹은 참가자들의 성찰, 경험, 그리고 제안을 수집한다. 토의 결과를 전체 회의에서 발표하고 전반적으로 논의한다. 이 과정 안에서 참가자들은 향후 12개월 동안 추진하고(워크숍) 차기 포럼에서 그 결과를 평가하고 업데이트 할 공동 행동 계획을 수립한다.
3. 워크숍
Fase attuativa delle azioni, processi e progetti che prendono vita nel FORUM. Il Cantiere normalmente ha durata di un anno, deve essere costituito da programmi e azioni misurabili e verificabili. Sono previsti incontri cadenzati nel tempo tra i Partecipanti.
The FORUM unfolds in 3 phases:
1. MAPPING
The Mapping phase serves to identify organizations open to the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outlined in Agenda 2030 of the United Nations that are active in the region and interested in taking part in the Forum. Their pinpointing is done both through direct contact by the Embassies.
2. FORUM
Taking account of the proposals that emerge from the Mapping, the Embassy proposes the subject of discussion in the form of a question. Each group gathers the reflection, experiences and proposals of its participants. The results are presented in a plenary session, for general comparison. In this context, a common plan of action is drawn up that will be put into effect by the participants over the course of the following twelve months, Workshop, until the next forum at which the results achieved will be assessed and the plans of action updated.
3. WORKSHOP
The Workshop is an active continuation of the Forum. It lasts for 12 months, between one Forum and the next. Each participant in the Forum presents the plan of action to her/his own organization and its propositions are taken up, discussed, studied in depth and modifi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