멀리서 온 이웃들과 지역 주민들을 위한 문화예술 프로젝트·공간·네트워크를 만듭니다.
A cultural and artistic project, space, and network for immigrants and local residents to come together.
‘이주 이야기 프로젝트 Migrations Stories Project’는 프로젝트이자 네트워크이자 공간을 아우르는, 함께 하기 위한 이름이다. 경기도 남부에는 수 천 km를 이동한 끝에 주민이 된 외국인들과 이미 주민으로 살아가거나 비교적 짧은 거리를 움직여 터전을 일군 한국인들이 살아가는 도시들이 두드러진다. 이 지역 선주민과 이주민이 더 가까운 이웃으로 교류하며 서로를 이해할 수 있도록, 전시와 워크샵, 공연 등 다양한 문화 예술 이벤트를 꾸려간다.
‘이주 이야기 프로젝트’는 기록에서부터 출발했다. 경기도 남부 지역을 중심으로 먼 곳이 고향이었던 이웃들이 이동하며 흘러보내고 남겨둔 서사들에 주목했다. 과거에서부터 현재로 이어지는 이야기에 눈길을 보내고 귀 기울이고 기록해간다면, 우리는 이주민과 선주민의 유동적인 개념을 다시 생각하며 거리를 좁히고 함께 미래로 나아갈 수 있지 않을까? 이러한 고민으로 ‘이주 이야기 프로젝트’는 2022년 네팔, 캄보디아, 베트남, 스리랑카, 미얀마에서 건너와 경기 남부 산업현장에서 일하며 살아가는 이웃들의 이야기에 주목했다. 2023년에는 경기도 내 고려인 밀집도시인 화성시에서 동포들을 만나, 세대에 걸쳐 이동과 정착을 반복해 온 삶을 들었다. 2025년에는 아리셀 참사 유가족들의 아픔을 나누고 손을 잡으며 예술로 이어지는 찰나를 쌓아갔다.
2025년 봄, ‘이주 이야기 프로젝트 홈 Migration Stories Project HOME’이라는 공간으로 경기도 화성시 발안시장에 터전을 만들었다. 한국이라는 나라를 기준으로 하면 외국인은 이주민으로, 한국인은 선주민으로 쉽게 구분할 수 있다. 하지만 ‘화성시’를 기준으로 삼는다면, 이 도시의 외국인은 아시아 곳곳에서 온 이주민과 그들을 부모삼아 한국에서 태어난 선주민이라는 세대로 이어진다. 동시에 한국인들 역시 날 때부터 도시에 거주한 선주민들과 저마다 이유로 도시로 이사온 이주민들로 뒤섞인다. 그렇기에 ‘이주 이야기 프로젝트’는 이주민과 선주민이 점차 구분 없이 뒤섞여가는 도시에서 서로 교류하기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그간 <발안천 단파 라디오 워크샵>, <발안시장 만두투어>, <씨앗 워크샵>, <나만의 사전 만들기 워크샵>, <로컬 스트레인지 프린팅 워크샵> 등 같은 장소에서 살아가는 외국인 친구들, 외국인 노동자, 다문화 가족들과 지역주민들을 초대하여 함께할 수 있는 프로그램 또한 운영하고 있다.
제3의 낙원 DMZ 포럼에는 이주 이야기 프로젝트의 김양우 작가와 배진선 큐레이터가 참여한다. 김양우 작가는 2020년부터 자신이 살아가고 있는 경기도 화성을 중심으로 지역과 장소를 리서치하며 멀리서 온 이웃들을 만나 더불어 살아가기 위한 방식을 나누며 작업에 담아 왔으며, 인터뷰, 프로그램 운영, 공간 운영, 네트워크 구축 등을 담당하고 있다. 배진선 큐레이터는 고려인 동포들을 만났던 <2023 이주 이야기 프로젝트>를 공동으로 기획했다. 경기도 화성의 재래시장인 발안시장 남양시장을 중심으로 지역 리서치를 함께 하였고, 러시아어를 사용하는 이주민들을 위한 생활 안내서 <언홈리 맵 Unhomely Map>의 초기 버전을 제작하였다. 그는 20세기 전환기 서구가 만든 근대와 그 번안들이 동시대에까지 맴돌면서 영향을 미친 궤적을 독립적으로 연구하고 있고, 특히 20세기 전간기 여성들의 노동과 성에 관심을 가지고 책과 전시를 만든다.
The 'Migrations Stories Project' is a name that encompasses a project, a network, and a space—all for the purpose of coming together. In southern Gyeonggi Province, cities stand out where foreigners who have traveled thousands of kilometers to become residents live alongside Koreans who have lived here as residents or who have moved relatively short distances to build their lives. To help the region's original residents and migrants interact as closer neighbors and understand each other, we organize diverse cultural and artistic events such as exhibitions, workshops, and performances.
The Migration Stories Project began with documentation. It focused on the stories carried and left behind by neighbors whose distant homelands lay far from their current lives, particularly in the southern region of Gyeonggi Province. By turning our eyes and ears to these narratives spanning past and present, and by recording them, we might rethink the fluid concepts of migrants and indigenous residents, bridge the gap, and move forward together into the future. With this in mind, the Migration Stories Project focused in 2022 on the stories of neighbors who crossed over from Nepal, Cambodia, Vietnam, Sri Lanka, and Myanmar to work and live in industrial sites in southern Gyeonggi Province. In 2023, we met compatriots in Hwaseong City, a hub for ethnic Koreans in Gyeonggi Province, listening to lives marked by repeated migration and settlement across generations. By 2025, we shared the pain of the families of the Aricell disaster (Hwaseong battery factory fire) victims, joining hands and building fleeting moments connected through art.
In the spring of 2025, the 'Migration Stories Project HOME' established its base in Balan Market, Hwaseong City, Gyeonggi Province. When viewed from the perspective of Korea as a nation, foreigners are easily categorized as immigrants, while Koreans are seen as indigenous residents. However, when considering 'Hwaseong City' as the reference point, the foreigners in this city span generations: immigrants from across Asia and the indigenous residents born in Korea to those immigrant parents. Simultaneously, Koreans themselves are a mix of indigenous residents who have lived in the city since birth and migrants who moved to the city for various reasons. Therefore, the 'Migration Stories Project' operates diverse programs to facilitate interaction between migrants and indigenous residents in a city where these distinctions are gradually blurring. It has also hosted programs inviting foreign friends, foreign workers, multicultural families, and local residents living in the same area to participate together, such as the <Balancheon Shortwave Radio Workshop>, <Balan Market Dumpling Tour>, <Seed Workshop>, <Make Your Own Dictionary Workshop>, and <Local Strange Printing Workshop>.
The Third Paradise DMZ Forum features Artist Kim Yang-woo and curator Bae Jin-sun from the Migration Stories Project. Since 2020, writer Kim Yang-woo has been researching the region and places around Hwaseong, Gyeonggi Province, where he lives. He has been meeting neighbors who came from afar, sharing ways to live together, and incorporating these experiences into his work. He is responsible for interviews, program operations, space management, and network building. Curator Bae Jin-sun co-planned the <2023 Migration Story Project>, which met with Korean-Russian compatriots. She conducted regional research centered on Balan Market and Namyang Market, traditional markets in Hwaseong, Gyeonggi Province, and produced the initial version of <Unhomely Map>, a life guide for Russian-speaking migrants. She independently researches the trajectory of modernity created by the West at the turn of the 20th century and its adaptations that continue to influence the present day. She is particularly interested in the labor and sexuality of women during the interwar period of the 20th century, creating books and exhibitions on these them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