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rd Paradise DMZ: the Art of Demopraxy in Korea
Semptember 29-30, 2025, Camp Greaves

주한이탈리아문화원, 경기관광공사, 그리고 피스톨레토 치타델아르테 온루스 재단이 공동 주관으로 한국의 31개 시민단체와 함께 캠프 그리브스에서 제3의낙원 DMZ를 개최한다. 미켈란젤로 피스톨레토의 제3의 낙원과 실천 민주주의(Demopraxy) 원칙을 공동 참여를 통해 현실로 구현하는 포럼이자 참여형 미술 설치 예술로, 분단의 역사적 현장을 반성, 대화, 공존, 지속 가능성을 위한 공간으로 탈바꿈시킨다.

Organized by the Italian Cultural Institute in Seoul, the Gyeonggi Tourism Organization, and Fondazione Pistoletto Cittadellarte Onlus at Camp Greaves, the Third Paradise DMZ is both a forum and a participatory art installation involving 31 civic organizations in Korea. It brings Michelangelo Pistoletto’s Third Paradise and the principles of Demopraxy to life through collective engagement, transforming a historic site of division into a space for reflection, dialogue, coexistence, and sustainability.


박채원, 송인교 | Chaewon Park, Doodoo SongImmagine 1 della galleria di 박채원, 송인교 | Chaewon Park, Doodoo SongImmagine 2 della galleria di 박채원, 송인교 | Chaewon Park, Doodoo SongImmagine 3 della galleria di 박채원, 송인교 | Chaewon Park, Doodoo SongImmagine 4 della galleria di 박채원, 송인교 | Chaewon Park, Doodoo SongImmagine 5 della galleria di 박채원, 송인교 | Chaewon Park, Doodoo SongImmagine 6 della galleria di 박채원, 송인교 | Chaewon Park, Doodoo SongImmagine 7 della galleria di 박채원, 송인교 | Chaewon Park, Doodoo Song

박채원, 송인교 | Chaewon Park, Doodoo Song

Organization: 한국레즈비언상담소 | Lesbian Counseling Center in South Korea
WHERE: Citistar Mall, Seoul
여성 성소수자의 인권 증진을 위한 퀴어 커뮤니티 기반 단체입니다.
A queer community-based group advocating for the rights of queer women.
[단체소개]
한국레즈비언상담소는 1994년 설립 이후 여성 성소수자의 권리와 삶을 지지해온 가장 오래된 레즈비언 인권 단체 중 하나입니다. 회원이 주체가 되는 단체로서, 공동체 돌봄과 연대를 이어가며 성소수자의 존재를 사회에 드러내는 다양한 활동을 전개해 왔습니다. 상담·문화·연대의 세 축을 바탕으로, 회원 커뮤니티 중심의 소모임과 교육, 글쓰기·워크숍, 전시와 캠페인을 진행해 왔으며, 차별금지법 제정, 혼인평등, 포괄적 성교육, 국제 연대 활동 등 사회적 의제에도 꾸준히 참여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활동은 성소수자의 목소리가 사회적 담론 속에서 사라지지 않고 확장될 수 있도록 하는 기반이 되어 왔습니다.
L상담소는 여성으로서, 그리고 성소수자로서 겪는 중첩적인 불평등에 주목합니다. 이러한 교차적 현실 속에서 드러나는 차별과 배제의 문제들을 사회적 의제로 제기하며, 다중 소수성의 영역에서 다양한 분야와 연결되는 연대를 이어가고자 합니다.


[활동소개]
한국레즈비언상담소는 여성 성소수자 인권 증진을 위해 활동하는 성소수자 페미니스트 단체로, 여성 퀴어 커뮤니티에 기반한 회원 중심의 조직입니다. 여성 성소수자의 삶을 지지하고 연결하며 가시화하는 활동을 펼쳐왔습니다. 1990년대 초 한국 최초의 레즈비언 모임인 「한국여성동성애자인권운동모임 끼리끼리」를 기반으로 설립되었으며, 2005년 현재의 이름으로 재출범하였습니다. 2000년대 초반에는 상담을 주요한 운동 방식으로 삼아, 전화상담·온라인 익명상담·대면상담 등을 통해 여성 성소수자 당사자들의 경험을 가까이에서 듣고, 이들의 고민과 삶의 이야기를 운동의 의제로 끌어올리고자 했습니다.

2010년대 이후에는 문화기획팀을 신설해 문화특강, 글쓰기 워크숍 등을 운영하며 여성 성소수자들의 커뮤니티와 문화를 풍부하게 하고, 이를 바탕으로 대중과 만나며 운동의 외연을 넓히고자 했습니다. 다양한 문화 실천을 통해 커뮤니티의 역사와 기억을 아카이빙하고 재현하는 작업도 이어오고 있습니다.

성소수자 인권운동 연대체와 결합하여 차별금지법 제정 등 법·제도 개선을 위한 대외 활동을 이어가는 동시에, 커뮤니티 내부의 연결과 회복을 위한 프로그램을 운영하며 당사자들의 자긍심과 연대를 지지하는 활동을 지속하고 있습니다.

현재 주요 활동으로는 단체 운영과 연대활동을 담당하는 사무국, 심리·정서적 지원을 담당하는 상담팀, 문화적 자기표현을 위한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사포의 서재가 있습니다. 독서, 뜨개질, 스포츠 등 다양한 회원 소모임도 함께 운영되고 있습니다. 이 소모임들은 단순한 취미 활동을 넘어서, 일상적 지지 기반이 부족한 여성 성소수자들에게 서로를 돌보고 자긍심을 기를 수 있는 중요한 공간이 되고 있습니다.

상담소는 여성 성소수자의 삶을 둘러싼 고민과 욕구가 일상과 정치, 커뮤니티와 운동이라는 이분법으로 분리되지 않는다는 점을 인식하며, 인권운동 단체이자 커뮤니티로서의 역할이 서로 조화롭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꾸준히 고민하고 실천하고 있습니다.

특히 2024년에는 창립 30주년을 기념하여 ‘레즈비언 ( ) 나: 한국레즈비언상담소 30년의 이야기’ 전시를 개최하였으며, 상담소의 활동과 역사적 자료를 대중에게 공개하는 첫 대규모 전시로서 성황리에 마무리되었습니다. 약 200명의 관객이 전시장을 찾았고, 전시와 함께 진행한 텀블벅 펀딩에서는 목표 금액의 300% 이상을 달성하며, 상담소의 기획력과 추진력을 입증하였습니다. 이 전시를 통해 우리는 여전히 많은 사람들이 ‘여성 성소수자’를 대표하고 대변하는 단체의 존재를 간절히 원하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포럼 참여 활동가 소개]

활동가 채원을 소개합니다.
채원(박채원) – 한국레즈비언상담소 사무국 활동가
한국레즈비언상담소 사무국 활동가 채원입니다. 저는 공공과 커뮤니티, 문화와 인권을 잇는 다양한 활동을 해 왔습니다. 한국레즈비언상담소에서 아카이브팀에 소속되어 선배 활동가들을 인터뷰한 기록 영상을 제작하는 등 기획, 홍보, 전시 제작의 전 과정에 참여했습니다.

한국레즈비언상담소 30주년 아카이브 전시 평론([전시 메모] 기억과 기념, 분출하는 오늘)
https://lgbtpride.tistory.com/2037

아카이브팀 활동을 하며 상담소의 30년 역사를 돌아보면서 단체에 깊은 애정을 갖게 되었고, 앞으로의 30년을 더 이어가길 바라는 마음에 사무국 활동가로 함께하여. 상담소의 활동 전반에 대한 운영과 회원 활동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사포의 서재’ 팀에서 회원을 위한 작은도서관화를 목표로, 글쓰기 워크샵과 문화 강연을 기획 및 발간물 제작을 기획 및 실행하고 있습니다.
전업인 공공도서관 사서로서, 미술 독서 모임 운영, 노인 대상 디지털 리터러시 향상 교육, 작은도서관 운영자를 위한 영상 제작 워크숍, 그리고 영유아 대상 인권 그림책 교육 등 다양한 연령과 주제를 아우르는 공공 교육을 통해, 정보 접근권과 평등한 학습 기회의 확대를 실천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예술 독립영화 상영 기획단도 함께하면서 인권과 문화 콘텐츠가 만나는 접점을 적극적으로 탐색하고 있습니다.


활동가 두두를 소개합니다.
두두(송인교) – 한국레즈비언상담소 사무국 활동가, 성교육 활동가
저는 한국레즈비언상담소 사무국 활동가 두두입니다. 상담소는 30년 넘게 여성 성소수자의 삶을 지지하고 기록하며, 상담·연대·문화 활동을 통해 성소수자의 권리를 사회적 의제로 확장해온 단체입니다. 저는 전부터 성소수자 인권과 상담, 커뮤니티 활동에 관심을 갖고 이야기를 나누는 것을 좋아해 왔습니다. 사무국 합류 이전에도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여러 활동을 이어왔으며, 특히 2024년 사무국에서 진행한 혼인평등 인터뷰 「정상성의 사회는 재미가 없어요」에서는 차별에 순응하지 않고 살아가고 싶은 제 마음을 드러냈습니다.

2024년 한국레즈비언상담소 회원 혼인평등 인터뷰
http://bit.ly/4mZPLJO

이는 성소수자의 삶을 지워내는 사회 규범에 맞서 싸워가야 한다는 다짐이기도 했습니다. 이후 2024년 11월부터는 사무국에 합류하여 회원 단체로서 상담소의 운영과 유지를 담당하고 있으며, 여성 성소수자 커뮤니티의 돌봄과 연결을 이어가는 일에 함께하고 있습니다. 회원활동을 주최하고 소모임 운영을 지원하며, 상담팀의 활동가 양성과정에도 참여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여성 성소수자의 삶과 목소리가 지워지지 않고 지속될 수 있도록 기여하고 있습니다.

전업으로는 성교육 활동을 이어가고 있으며, 동시에 한국레즈비언상담소의 비상근 사무국 활동가로서 단체 운영과 회원 커뮤니티의 연대를 위해 힘쓰고 있습니다. 이렇게 이어진 활동은 인권 활동가로서의 정체성을 확장하는 기반이 되었습니다.

L상담소 활동가로서 저는 다음과 같은 실천에 함께했습니다.
- 정책 대응 활동: 서울시가 청소년성문화센터 매뉴얼에서 ‘성소수자’를 삭제하려 한 시도에 맞서 “[성명] 우리를 가르치지 않는 교육에 반대한다”에 함께하며, 성소수자의 존재를 지우지 말 것을 요구했습니다.

시립청소년성문화센터 운영매뉴얼 관련 성명
http://bit.ly/3JHXSwh

- 공동체 문화 활동: 2025년 퀴어문화제에서는 한국레즈비언상담소 부스 운영자로 현장에 함께했습니다. 이 자리에서 진행한 ‘레즈비언 라이센스’ 퍼포먼스는 큰 반향을 일으키며 단체의 존재를 강하게 남겼습니다. 이는 정체성 검열에 반대하는 문제의식을 드러내는 동시에, 퀴어 커뮤니티 안에서 즐거움과 연대를 나누는 의미 있는 실천이 되었습니다.

- 사회적 발언과 보도: 언론을 통해 성소수자 당사자의 목소리(차별금지법, 혼인평등 등 의제)는 함께 살아가는 동료시민으로서 우리 사회가 직면한 중요한 과제임을 보여주었습니다.

경향신문: “성소수자 관련 의제를 시기상조라며 피하지 않았으면 좋겠다”
https://www.khan.co.kr/article/202506040306005/?utm_source=urlCopy&utm_medium=social&utm_campaign=sharing

「제3의 낙원」 프로젝트 취지에 따라, 이번 참여를 통해 실천민주주의와 차이를 넘어서는 대화와 실천을 도모하고자 합니다. L상담소 활동은 곧 성소수자의 권리를 존중하는 사회를 만드는 일이며, 다양한 활동가들과 목소리를 모으는 연대의 과정이고, 차이를 존중하는 민주주의적 실천을 확장하는 일이기도 합니다. 이번 포럼을 통해 서로 다른 분야의 활동가들과 교류하며 공존의 의미를 넓히고, 성소수자 단체 활동의 지향과 의제를 함께 나누고자 합니다. 저는 앞으로도 상담과 교육, 인권 활동을 통해 도움이 필요한 이들과 함께하며, 민주주의와 공존을 향한 길을 계속 확장해 나가고자 합니다.



[About Us]
The Korean Lesbian Counseling Center is one of the oldest lesbian human rights organizations, supporting the rights and lives of queer women since its establishment in 1994. As a member-led organization, it has carried out diverse activities to reveal the existence of queer people in society, continuing community care and solidarity. Based on the three pillars of counseling, culture, and solidarity, it has conducted member-community-centered small groups, education, writing workshops, exhibitions, and campaigns. It has also consistently participated in social agendas such as the enactment of the anti-discrimination act, marriage equality, comprehensive sexuality education, and international networking. These activities have served as a foundation ensuring the voices of sexual minorities are not silenced but amplified within social discourse.
L Counseling Center focuses on the intersecting inequalities experienced by women and sexual minorities. We raise issues of discrimination and exclusion that emerge within this intersectional context as social agendas, and we strive to build solidarity across diverse fields within the realm of intersectional marginality.


[About Our Activities]
The Korean Lesbian Counseling Center is a feminist organization for sexual minorities dedicated to advancing the human rights of women who are sexual minorities. It is a member-centered organization rooted in the women's queer community. It has carried out activities supporting, connecting, and making visible the lives of women who are sexual minorities. It was founded in the early 1990s based on Korea's first lesbian gathering, "KiriKiri (the Korean Women Homosexual Rights Group)," and relaunched under its current name in 2005. In the early 2000s, counseling became its primary method of activism. Through phone counseling, online anonymous counseling, and in-person counseling, it listened closely to the experiences of women sexual minorities themselves, aiming to elevate their concerns and life stories into the movement's agenda.

After the 2010s, a new cultural planning team was established to enrich the community and culture of women sexual minorities through cultural lectures and writing workshops. Building on
this foundation, the team sought to engage with the public and broaden the movement's reach. They also continue archiving and reenacting the community's history and memories through diverse cultural practices.

While continuing external activities for legal and institutional improvements, such as enacting an anti-discrimination law, in collaboration with LGBTQ human rights movement coalitions, we also operate programs to foster internal community connections and recovery. We persistently support the pride and solidarity of those directly affected.

Current main activities include the Secretariat, responsible for organizational management and solidarity activities; the Counseling Team, providing psychological and emotional support; and Sappo's Library, operating programs for cultural self-expression. Various member-led small groups, such as reading, knitting, and sports, are also run. These groups go beyond simple hobby activities, serving as crucial spaces where women who are sexual minorities, often lacking a daily support base, can care for each other and build self-esteem.

The counseling center recognizes that the concerns and needs surrounding the lives of women sexual minorities are not separated by the dichotomy of daily life versus politics, or community versus activism. It continuously strives to harmonize its roles as both a human rights organization and a community space through thoughtful consideration and practice.

Particularly, in 2024, to commemorate its 30th anniversary, the center held the exhibition 'Lesbian ( ) Me: 30 Years with the Lesbian Counseling Center in South Korea'. This was the first large-scale exhibition to publicly showcase the center's activities and historical materials, and it concluded successfully. Approximately 200 visitors attended the exhibition, and the accompanying Tumblebug crowdfunding campaign achieved over 300% of its goal, demonstrating the Center's planning and execution capabilities. This exhibition confirmed that many people still deeply desire the existence of an organization that represents and advocates for 'women sexual minorities'.


[Introducing Forum Participating Activists]

Introducing activist Chae-won.
Chaewon (Park Chaewon) – Activist, Secretariat, Korean Lesbian Counseling Center
I am Chae-won, an activist at the Korean Lesbian Counseling Center. I have engaged in diverse activities connecting the public sphere, community, culture, and human rights. As part of the Archive Team at the Korean Lesbian Counseling Center, I participated in the entire process of planning, promotion, and exhibition production, including creating recorded interviews with senior activists.

Review of the Korean Lesbian Counseling Center 30th Anniversary Archive Exhibition ([Exhibition Notes] Memory and Commemoration, Today's Outpouring)
https://lgbtpride.tistory.com/2037

Through my work with the Archive Team, reflecting on the Center's 30-year history deepened my affection for the organization. Hoping to help carry forward the next 30 years, I joined as an administrative staff member. I support the overall operations and member activities of the center. As part of the 'Sappho's Library' team, I plan and execute writing workshops, cultural lectures, and publication projects with the goal of creating a small library for members.

As a full-time public librarian, I practice expanding access to information and equal learning opportunities through diverse public education programs spanning various ages and topics. These include running art reading groups, digital literacy training for seniors, video production workshops for small library operators, and human rights picture book education for infants and toddlers. Recently, I've also joined an independent art film screening planning group, actively exploring the intersection where human rights and cultural content meet.


Introducing activist Doodoo.
Doodoo (Song In-gyo) – Activist at the Korean Lesbian Counseling Center, Sex Education Activist
I am Doodoo, an activist at the Korean Lesbian Counseling Center. For over 30 years, the Center has supported and documented the lives of women sexual minorities, expanding LGBTQ+ rights into a social agenda through counseling, solidarity, and cultural activities. I have always been interested in LGBTQ+ rights, counseling, and community activities, and I enjoy discussing these topics. Even before joining the office, I engaged in various activities based on this awareness. Particularly, in the 2024 Marriage Equality Interview conducted by the office, titled "Society of Normality is Boring," I expressed my desire to live without conforming to discrimination.

2024 Korean Lesbian Counseling Center Member Marriage Equality Interview
http://bit.ly/4mZPLJO

This also solidified my resolve to fight against societal norms that erase the lives of sexual minorities. Since joining the Secretariat in November 2024, I have been responsible for the operation and maintenance of the counseling center as a member organization, and I am involved in continuing the care and connection within the women's sexual minority community. I organize member activities, support small group operations, and participate in the counseling team's activist training program. Through this, I contribute to ensuring the lives and voices of women sexual minorities are not erased and can continue.
Full-time, I continue my work in sex education while simultaneously serving as a part-time administrative staff member at the Korean Lesbian Counseling Center, striving for organizational operation and solidarity within the member community.

This ongoing work has become the foundation for expanding my identity as a human rights activist.
As an activist at the Counseling Center, I have participated in the following practices:
- Policy Response Activities: Opposing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s attempt to remove 'sexual minorities' from the Youth Sexuality Culture Center manual, I joined the statement "[Statement] We Oppose Education That Does Not Teach Us," demanding that the existence of sexual minorities not be erased.

Statement Regarding the Seoul Youth Sexuality Culture Center Operation Manual
http://bit.ly/3JHXSwh

- Community cultural activities: At the 2025 Queer Culture Festival, I participated as a booth operator for the Korean Lesbian Counseling Center. The 'Lesbian License' performance conducted there generated significant resonance, leaving a strong impression of the organization's presence. This served as a meaningful practice that both expressed opposition to identity censorship and shared joy and solidarity within the queer community.

Photo of the Korean Lesbian Counseling Center's participation in an article about the 2025 Queer Culture Festival
https://www.hani.co.kr/arti/society/rights/1202793.html?utm_source=copy&utm_medium=copy&utm_campaign=btn_share&utm_content=20250830

- Social Commentary and Media Coverage: Through the press, the voices of sexual minority individuals (on issues like the Anti-Discrimination Act and marriage equality) demonstrated that these are crucial challenges facing our society as fellow citizens living together.

Kyunghyang Shinmun: "I hope we don't avoid LGBTQ+ issues by calling them premature."

In line with the spirit of the "Third Paradise" project, we aim to foster dialogue and action that transcends differences through this participation, practicing democracy in action. The work of the L Counseling Center is about building a society that respects the rights of sexual minorities, a process of solidarity that gathers voices from diverse activists, and an expansion of democratic practice that honors differences. Through this forum, we seek to broaden the meaning of coexistence by interacting with activists from different fields and to share the goals and agenda of LGBTQ+ group activities. I intend to continue walking alongside those in need through counseling, education, and human rights activities, and to keep expanding the path toward democracy and coexistence.
  • Goal 5: Gender Equality
  • Goal 10: Reduce Inequalities
PUBLISHED BY: soikonfield